SELECT문의 기본 문법
1. SQL 작성 규칙 중요
2.한줄 또는 여러 줄로 작성할 수 있음
3. 코드 수준에 따른 들여쓰기는 SQL 문장을 좀 더 읽기 쉽게 한다.
4. 명령어를 대문자로 작성하고 나머지를 소문자로 작성하면 가독성이 좋아짐
전체 조회
select * from 테이블이름
정렬
order by 열이름 ASC, DESC
열을 여러개 출력하기 위해 , 사용
null
아직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
아직 입력하지 않음
insert로 입력해주면 됨
원본 테이블만 저장 변한 값들은 저장되지 않는다
데이터베이스는 연산이 가능
ex) select salary, salary*1.1, salary*1.3
from hr.employees;
중복된 값 출력하지
distinct
열이름 여러개 가능
별칭을 사용하기위해 as 키워드를 사용
select 열이름 as 별칭
연결 연산자 ||
ex)
select employee_id , (first_name || last_name) as name
from employees;
작은따움표로 숫자 문자 특수문자를 넣어서 데이터를 다양하게 표현가능
ex)(email || '@' || 'company.com'
where 절
조건 지정 가능
한번만 적는다
and or 로 계속 붙인다
true 아님 false
SQL 연산자
between
a이상 b 이하의 값을 조회하라는 의미
ex)
where salary Between 10000 and 20000;
in
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 값이 여러 개일 때 사용
ex)
where salary in(10000, 17000, 20000)
like
조회 조건 값이 명확하지 않을 때 사용
~와 같다라는 의미
%와 같은 _ 같은 기호 연산자와 함께 사용(와일드카드(%, _))
% 모든 문자라는 의미 _는 한 글자라는 의미
ex)
where first_name like '%A' ~A가 모두출력
where first_naem like 'A%' A~가 모두출력
where first_naem like '%A%' ~A~ 모두 출력
where first_naem like 'A___' A뒤에 따라오는 문자열이 3자리인 데이터 모두출력
where first_naem like 'A__E%%' 첫글자가 A고 두개의 문자열이 있으며 마지막 글자가 E인 데이터 모두 출력
% _ 같이 사용가능
is null
- 데이터 값이 null인 경우를 조회하고자 할 때 사용
- null은 값이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값이 없어 알 수 없는 값
- is not null : null 값이 아닌 것을 조회할 때 사용
논리 연산자
AND : 앞의 조건 뒤의 조건이 동시에 참이어야 참(범위를 좁히는)
OR : 앞의 조건 뒤의 조건 어느 한쪽이 참이 경우 참 (범위를 넓은)
NOT : 뒤의 조건에 대해 반대 결과를 반환
부정 연산자
!= : 같지 않다
<> : 같지 않다(ISO 표준)
not 열 이름 = : ~와 같지않다
not 열 이름 > : ~보다 크지 않다
부정 SQL
not between a and b : a와 b 사이에 값이 없다
not in(list) : list 값과 일치하지 않는다
모두의 SQL 누구나 쉽게 배우는 데이터 분석 기초
김도연 지음 길벗
'데이터 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DML : 데이터의 삽입/갱신/삭제 (0) | 2021.05.14 |
|---|---|
| 서브쿼리 : SELECT 문 안에 있는 SELECT 문 (0) | 2021.05.14 |
| ERD : 데이터베이스 개체 설계도, 조인과 집합: 여러 개의 테이블 연결하기 (0) | 2021.05.14 |
| 함수 : 함수로 데이터를 쉽게 가공하기 (0) | 2021.05.13 |
|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SQL (0) | 2021.05.12 |